통계학이란 무엇일까요?

 

통계학이란 불확실한 상황에서 좀 더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 관심 대상이 되는 집단을 관찰하여

수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표현화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분야를 다르는 학문 입니다.

효과적인 의사결정,  자료의 수집/정리/표현/분석이 핵심 키워드가 되겠습니다.

 

통계학의 분류

통계학은 기술통계학과 추리통계학으로 나뉩니다.

 

기술통계학

측정이나 실험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정보로 전환하기 위해서 요약하고 정리하고 그의 특성을 기술하는 그래프적 수치적 절차에 관한 학문 입니다.

자료는 표본조사나 실험을 통해서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이해하기 쉬운 표, 그래프, 차트, 또는 요약특성치(평균, 분산)로 요약하고 분류하여 표현하면 정보가 됩니다.

예를 들면 야구선수의 타율, 실업율, 환율 등이 기술 통계에 해당이 됩니다.

 

추리통계학

기술통계학은 표본이나 모집단의 크기가 적을때는 문제가 없으나, 크기가 커지면 비용, 시간, 정확성의 문제가 발생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모집단의 일부분인 표본을 추출하고. 표본정보를 이용하여 모집단 전체에 대해서 결론을 내릴수가 있는데,

이때 추리 통계학을 사용 합니다.

예를 들어서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 일부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지지율을 추정하고, 당선결과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것이 추리 통계학입니다.

 

오늘날 통계학의 주류는 추리 통계학 입니다.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데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표본조사를 통해서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것이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기술통계학과 추리통계학의 관계

기술통계학과 추리통계학은 상호 관련이 있습니다.

기술통계학의 기법을 사용한후, 그 정보를 사용하여 모집단의 어떤 특성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리적 분석을 실시한다.

 

 

 

 

 

 

 

 

 

 

 

 

 

 

 

 

 

 

 

 

 

 

 

 

 

 

 

 

 

 

 

 

 

 

 

 

 

 

 

 

 

 

 

 

 

 

 

 

 

 

 

 

 

 

 

 

 

 

 

 

 

 

 

 

 

 

 

 

 

 

 

 

 

 

 

 

'기초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심경향의 측정치  (0) 2016.12.15
도수분포표  (0) 2016.12.15
측정척도의 형태  (0) 2016.12.15
통계학 자료의 종류  (0) 2016.12.15
모집단과 표본  (0) 2016.12.15

+ Recent posts